오가닉 승인 1번 - 심리학

심리학에 대해 적습니다

  • 2022. 4. 6.

    by. 오가닉 애드센스 1번 -심리학

    목차

      인지심리학이란 무엇인지 기초심리학에 대해 소개할 때 짧게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인지심리학이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지심리학
      인지심리학

      인지심리학

      실험심리학의 영역 중 하나입니다. 행동의 주관적인 측면을 중시하고 지식 획득과 심리적 발달 등 연관된 정신적 과정을 탐구하는 심리학의 분야이며 정보처리의 관점으로 인지활동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20세기에는 행태 심리학이나 레프 비고츠키, 장 피아제 등 인지론적 연구를 이어가는 분야이면서 신 행동주의 심리학의 발전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대 과학의 발전으로 심리학에서 영향력 있는 연구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인지란?

      인식의 주체는 어떻게 정보를 받아들이는가? 왜 어떤 정보는 받아들이고 어떤 정보는 흘려버리는가? 그 정보는 입력되어 기존의 정보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그리고 그 결과는 어떻게 저장되는지 저장되는지 또한 저장된 정보는 어떻게 꺼내 쓰는지에 대한 문제에 대해 답하고자 하는 분야입니다.

      주의집중, 감각과 지각, 학습과 기억, 언어와 사고 과정을 포함합니다.

       

      인지심리학의 연구대상

      지각, 이해, 기억, 사고, 학습, 추론, 문제 해결과 인간의 고차인지기능을 연구대상으로 합니다. 인지심리학의 대상도 앞서 언급한 것 중 기초와 응용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지각, 기억, 주의는 인지심리학 내에서도 기초적인 연구대상으로 보고 언어, 문제 해결, 추론 등은 좀 더 응용적인 대상으로 간주합니다. 인지심리학의 경우 뇌과학, 신경심리학, 정보과학, 인공지능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인지심리학의 역사

      인지심리학이 활발해지긴 전 자극-반응이라고 하는 도식에 의한 행동주의 심리학이 일반적이었다. 컴퓨터의 발전에 수반해 정보과학이 발달하면서 정보과학의 생각이 심리학에 받아들여져 인지심리학이라는 분야가 성립되었습니다. 기존의 환경에 대한 결과물로 행동을 바라보고 '학습' 주된 관심으로 가졌지만 단순히 자극의 변화로 행동을 설명하기 어려워져서 다른 이론적 접근이 필요해졌습니다. 1967년 울릭 나이서가 인지 심리학이라는 책을 출판하고 이 말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합니다. 

       

      인지심리학의 대표적인 연구자

      인지심리학의 대표적인 연구자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막스 베르트하이머
      • 프레드릭 바틀렛
      • 볼프강 쾰러
      • 레프 비고츠키
      • 장 피아제
      • 제롬 브루너
      • 조지 밀러
      • 앨런 뉴웰
      • 대니얼 카너먼
      • 도널드 노먼
      • 엘리자베스 로프터스
      • 스티븐 핑커

       

      인지심리학의 연구방법론

       

      실험법

      과거 동물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던 것과는 달리 대조적으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기법을 발전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인간실험에서 고려되어야 할 수많은 변인들에 대해 고민하였습니다. 인위적으로 통제된 조건을 만들어 놓고 연구하고자 하는 변인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킬때 그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심리 시간 분석법(반응시간 법)

      자극 상황이 질적으로 달라짐에 따라 인간의 정보처리 시간이 달라진다는 점에 기인합니다. 실험실 상황에서 피험자들에게 여러 가지 인지 과제를 제시하고 과제 상황이 달라짐에 따라 일어나는 반응시간을 측정한 후 반응시간의 차이에서 특정 인지적 심리적 구조 또는 과정의 특성을 추론하는 방법입니다. 

       

      인지신경 연구법

      뇌와 인지의 관계를 탐구하는 연구방법으로 뇌파 측정법, 뇌의 단층촬영법, 뇌혈류 신진대사 측정 및 뇌의 생화학적 반응 측정법등이 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이란?  (0) 2022.04.19
      교육 심리학  (0) 2022.04.08
      산업 및 조직 심리학이란  (0) 2022.04.07
      상담심리학이란  (0) 2022.04.06
      임상심리학이란?  (0) 2022.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