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가닉 승인 1번 - 심리학

심리학에 대해 적습니다

  • 2022. 11. 15.

    by. 오가닉 애드센스 1번 -심리학

    목차

      성격심리학이란 무엇인지 기초심리학에 대해 소개할 때 짧게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성격심리학이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격심리학

      성격심리학

      성격심리학이란 이름 그대로 인간의 성격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입니다. 

       

      인간의 성격을 파악하는 방법은 크게 유형론, 특성론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형론은 각 개인의 성격을 여러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특성론은 성격을 형성하는 보편적인 여러 가지 특성들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현대의 관점

      특질 이론 : Allport(1937)에서부터 발전하였습니다. 성격이 각각의 특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격은 이 특징들의 조합이라고 봅니다. 성격을 정확하게 확인, 측정하고 수학적 연구의 기초를 마련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성격 요인 연구 : 특질 이론은 이후 성격요인 연구로 계승되어 1990년대 말에 5 요인 모형으로 수렴하였습니다. 폴 코스타 주니어와 로버트 맥크레이가 개발했습니다. 후술 되는 현대 심리학의 측정, 성격발달, 성격의 개인차, 유전 등은 이 성격 요인 연구를 체계화시키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대적 연구주제

      성격 발달 과정 : 발달심리학 쪽에서도 관심이 있다. 프로이트의 문제의식을 계승하지만 방법론은 전혀 다릅니다. 오늘날 성격발달이라 하면 너무 막연해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협의로 가리키는 것처럼 통한다고 봐도 됩니다. 

      유전학 : Weiss at el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성격 특질은 유전되는가 와 같은 이야기를 다룹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수많은 사람들 사이의 특정 성격 특질의 분산의 ~%는 유전된 것에 가깝게 설명을 합니다.

      성격장애 : 임상심리 쪽에서 관심들이 많지만 JPD 같은 저널들은 성격 심리학자들도 많이 구독합니다. 특히 성격심리학의 경우 일부 연구 거리들은 양쪽 분야가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주요 이론 및 학자

      • Big5의 개발자인 폴 코스타 주니어와 로버트 맥크레이
      • 마시멜로 실험의 진행자이자 자기 통제 분야의 권위자인 왈터 미셸
      • 어둠의 삼원을 제창한 델로이 폴 허스
      • 자기 조절 연구의 권위자인 찰스 카버
      • 사회심리학 및 정치심리학과 연결시킨 주제로서는 권위주의를 연구하는 크리스 시블리 와 존 더킷

       

      성격의 5가지 측면

      1. 성격은 시간이 지나도 안정적으로 응집되어 있다.

      2. 성격은 행동에서부터 사고와 감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된다. 

      3. 성격은 조직화되어 있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 장애의 징후이다.

      4. 성격은 개인의 관계 맺는 방식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이다.

      5. 성격은 심리학적 개념이지만 동시에 개인의 신체적, 생물학적 특징들과 연결되어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각심리학의 형상과 부분지각, 전체지각  (0) 2022.11.27
      학습심리학이란?  (0) 2022.11.27
      광고심리학이란?  (0) 2022.11.15
      생리심리학이란?  (0) 2022.11.10
      발달심리학이란?  (0) 2022.11.10